[펌] 오늘의 무협용어 23. 진주언가
- 웹소설 연구_무협
- 2022. 10. 25.
오늘의 무협용어 23. 진주언가 - 웹소설 연재 마이너 갤러리
(무틀딱들 발광하는 짤.jpg)오늘은 진주언가에 대해서 파볼거임.하... 진짜 이거 할까말까 심각하게 고민했음. 왜냐? 이게 진짜 기묘하기 그지없는 병신같은 설정들의 연합이거든.근데 아무거나
gall.dcinside.com

(무틀딱들 발광하는 짤.jpg)
오늘은 진주언가에 대해서 파볼거임.
하... 진짜 이거 할까말까 심각하게 고민했음. 왜냐? 이게 진짜 기묘하기 그지없는 병신같은 설정들의 연합이거든.
근데 아무거나 갖다붙인건 또 아니야.
자세한건 설명을 보면 다들 알게 될 거임.
1. 무협소설 속 진주언가의 묘사
진주언가는 하북성 진주에 위치해있으며, 언가권이 특징인 무림세가로 묘사됨.
특이하게도 강시술, 강시공, 강시검을 사용하는데 소설에 따라
- 강시처럼 겁없이 적을 상대하는 무공
- 몸을 강시처럼 단단하게 만드는 무공
- 실제로 강시를 부리는 사술
이 셋 중 하나를 쓰는 걸로 묘사됨. 3가지 중 여러가지를 선택하는 경우도 있고.
정파에 속하는 무림세가면서도 강시술을 쓰는 독특한 문파인데 그래서 정사지간으로 소개되는 경우가 많음.
그럼 이 설정들이 어디서 짜집기 되었는지 지금부터 밝혀줄게.
2. <<서검은구록>>의 언가권

(또용이냐!! 응 또 김용이야~)
무려 김용선생의 처녀작이며 1955년에 쓰인 <<서검은구록>>에서 언가권이 나옴.
여기서 언가권은 무공이자 무림단체의 이름이기도 함. 근데 주의. 진주언가晋州彦家가 아니라 언가권言家拳임.
서검은구록에서 청나라 황제 건륭제의 시위, 즉 호위 무사 중에 언백건이라는 인물이 나옴. 작중에서는 악역임.
이 언백건이라는 인물은 하북성의 진주晋州가 아니라 호남성의 진주辰州에 위치한 언가권이라는 무림단체의 장문인 출신이었음.
언가권의 장문인인 만큼 권법에 능함.
이 언백건이 쓰던 권법 중에 강시권이라는게 존재했음.

(이거 말고...)
실제로 강시를 부리거나 강시처럼 몸이 단단해지는 게 아니고, 취권처럼 독특한 형태를 취해서 적을 당황시키는 식의 무술임.
강시권을 쓰면 갑자기 눈을 위로 돌리고 팔을 펴고 뻣뻣한 다음 앞뒤로 뛰며 강시처럼 행동했다고 함.
눈을 부라려 적을 겁주고 팔을 굽히지 않고 쭉 뻗도, 무릎도 구부러지지 않은 채로 싸웠다고 함.

생각해봐 강시 영화에서 나온 강시들처럼 두손 쫙 편채로 귀신 흉내내면서 달려드는데 엄청 잘싸워.
그럼 사람이 당황하겠니 안당하겠니? 아마 숙달된 무림 고수라도 처음엔 당황해서 한 두대 얻어맞을듯.
무려 건륭제의 호위 무사하던 고수가 썼으니 더 강력했을 거임.
여튼 진주의 언가권, 그리고 강시권은 아마 여기서 유래했다는 게 내 추측임.
3. 하북성의 진주언가
서검은구록이 한국에 퍼지면서 호남성 진주의 언가권이 요상하게 변함.
① 위치 변경
- 일단 하북성으로 갑자기 이사를 해버림. 이건 아마 하북성에 있는 진주와 호남성에 있는 진주를 착각해서 그런 걸 거임.
- 그래서 중국 바이두에 백날천날 진주언가 검색해봐도 안나옴. 내가 한시간을 검색함 ㅅㅂ
② 성씨 변경
- 성씨도 언言에서 언彦으로 바뀌었음.
- 이건 정말 왜 바뀐지 모르겠는데, 아마 작가들이 말씀 언이 너무 쉬운 한자라서 그럴듯해보이는 한자인 선비 언으로 바꾼 것 같음.
- 그런데 문제는 중국에서 언彦씨가 굉장히 희귀하고 잘 안보이는 성씨임.
- 갖은 사료를 다 뒤져봐도 후궁 언씨 첩 언씨 아니면 청나라 정치인 언시 정도가 나오는게 대부분임.
- 즉, 일대를 주름잡을 명성을 가진 성씨는 아니었다는 소리(그런데 이건 대부분 무림 세가가 다 비슷해...)
③ 강시권의 오해? 왜곡?
- 위에서 설명했듯이 강시권은 강시 흉내를 내며 적을 당황시키는 무공임.
- 그런데 갑자기 이게 뜬금없는 강시공으로 바뀌어버림.
- 아마 처음 강시권을 바꾼 사람은 강시처럼 담대한 마음으로 적을 공격한다는 강시공을 썼을 거임. 이게 원본이랑 제일 유사하니까.
- 그러다 몸을 강시처럼 단단하게 하는 무공으로 변하고 그 다음엔 진짜 강시공을 사용하는 세가가 됐을 거라고 추측됨.
- 단지 언가권 중의 하나였던 강시권이 한국 무협소설에서 강시술로 변하게 된 거임.
즉, 호남성 진주 언가권이라는 문파에서 썼던 강시권 -> 하북 진주언가의 강시공
이런식으로 바뀌게 된 거임.
4. 강시술을 사용하는데 정파다?
다른 설정이야 뭐 이리 바꾸고 저리 바꿔도 그만이지만 강시술은 좀 애매함.
강시라는 게 다들 알다시피 죽은 시체를 움직이게 하는 언데드, 사강시가 있고, 산 사람을 조종하는 생강시가 있음.
당연히 어느 쪽이든 정파가 할게 못 됨.
거기다 내가 하북성 설명할 때마다 하는 이야기지만, 황성 근처에서 시체를 가지고 노는 사악한 무리가 있다? 당장 토벌될 거임.
만약 진주언가에 강시 설정을 넣을 거면 이 개연성을 잘 풀어나가야 할 듯함.
오늘의 설명 끝~
'웹소설 연구_무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펌] 오늘의 무협용어 25. 무협 고수들은 왜 검을 쓸까? (0) | 2022.10.25 |
---|---|
[펌] 오늘의 무협용어 24. 주점, 객잔 문화 (0) | 2022.10.25 |
[펌] 오늘의 무협용어 22. 중국의 술(무협편) (0) | 2022.10.25 |
[펌] 오늘의 무협용어 21. 중국의 술(역사편) (0) | 2022.10.25 |
[펌] 오늘의 무협용어 20. 무협 속 약 (0) | 2022.10.25 |